알고리즘/프로그래머스

[프로그래머스/Swift] 크기가 작은 부분 문자열

녕이 2022. 12. 26. 23:06
728x90

 
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47355

 

프로그래머스
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
programmers.co.kr

 

 

t 문자열을 p의 길이만큼 쭉 순회하면서 더 작은지 체크했다.

여기서 extension을 사용해 봤다. extension을 사용해보고 싶었는데, 예제를 찾아보면서 작성해 봤다^^..

처음엔 이 방법이 시간초과를 발생시킬까 봐 일단 해보자는 마음으로 했는데 길이 제한이 10,000이라 넘어간 듯싶다.

문제를 풀면서도 다른 사람들은 대체 어떻게... 더 효율적으로 풀었을까 너무너무 궁금했다

내 풀이 방법이 베스트가 아닐 수 있으니 꼭 다른 사람의 코드를 확인해서 방법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다.

이제부터 문제를 풀면 오답 노트를 작성해야겠따~

 

 

[내 코드]

import Foundation

func solution(_ t:String, _ p:String) -> Int {
    let length = p.count
    var answer = 0
    for i in 0...t.count-length {
        var subString = t.substring(from: i, to: length + i)
        if subString <= p {
            answer += 1
        }
    }
    return answer
}

extension String {
    func substring(from: Int, to: Int) -> String {
        let startIndex = index(self.startIndex, offsetBy: from)
        let endIndex = index(self.startIndex, offsetBy: to)
        return String(self[startIndex ..< endIndex])
    }
}

 

문자열 문제의 다른 사람들의 코드를 보면 popLast, removeLast, removeFirst 등과 같이 앞 뒤 원소를 없애면서 부분 문자열을 만드는 경우가 많았다.

 

[다른 분의 코드]

func solution(_ t:String, _ p:String) -> Int {
    var answer = 0

    for i in 0 ... t.count - p.count {
        let subStr = t.dropFirst(i).prefix(p.count)
        if let comp = Int(subStr), let val = Int(p) {
            answer += comp - val <= 0 ? 1 : 0
        }
    }

    return answer
}

여기서 보면 나와 동일한 형식으로 구현했지만 더 깔끔하게 작성한 것 같다!

이분은 함수들을 잘 사용한 것 같다.

dropFirst를 통해 앞 원소를 없애고, prefix 함수를 통해 p.count 길이만큼 잘라 subString을 만들었다.

그 후, 비교하고 answer += 1을 진행했다.

 

 

문자열 문제는 좀 더 Swift 스럽게 풀도록 노력해야겠다. 일단, 관련 함수들을 많이 공부하고 외워놔야지!

 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