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ithub

[GitHub] Pull Requests는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하는걸까??

녕이 2022. 9. 28. 12:06
728x90

 

 

 

🚨사실 까먹지 않기 위해 정리해둔 것이기 때문에 제 포스팅보다는 참고 블로그를 보시는 게.. 좋을 듯싶습니다^^.. 🚨

 

 

 

참고 블로그

 

https://docs.github.com/en/pull-requests/collaborating-with-pull-requests/proposing-changes-to-your-work-with-pull-requests/about-pull-requests

https://velog.io/@zansol/Pull-Request-%EC%9D%B4%ED%95%B4%ED%95%98%EA%B8%B0

https://wayhome25.github.io/git/2017/07/08/git-first-pull-request-story/

 

 

 


 

 

 

 

Issues 때와 마찬가지로 레파지토리를 생성하면 보이는 카테고리 중 pull requests라는 카테고리도 있다.

이건 뭐지…? 싶어서 찾아보았다.

 

pull request를 구글링을 해보다가

https://wayhome25.github.io/git/2017/07/08/git-first-pull-request-story/

 

git 초보를 위한 풀리퀘스트(pull request) 방법 · 초보몽키의 개발공부로그

개발을 하다 보면 코드를 여러 개로 복사해야 하는 일이 자주 생긴다. 코드를 통째로 복사하고 나서 원래 코드와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개발을 진행할 수 있는데, 이렇게 독립적으로 개발하는

wayhome25.github.io

 

이 블로그에서 본 대화인데,,

 

“회사 기술 블로그 레파지토리를 포크 떠서 후기 작성하고 저한테 PR 보내주세요”

 

이 말을 이해하려면 pull request가 뭔지 이해해야 할 듯싶었다.

협업을 하면서 정말 중요한 pull request를 정리해보도록 하자~

 

 

공식 GitHub Docs에 적힌 Pull Request는…

“Pull requests는 GitHub의 레파지토리에 있는 branch에 push 한 변경 사항을 다른 사람에게 알릴 수 있게 해 준다. Pull requests가 일단 열리면, 공동 작업자와 잠재적인 변경사항을 논의, 검토하고 기본 branch에 변경사항이 병합(merge)되기 전에 후속 commit을 추가할 수 있다.”

 

이렇게 하면 뭔가 좀… 쉽게 이해할 수 없다.

 

 

https://velog.io/@zansol/Pull-Request-이해하기

 

Pull Request 이해하기

- 의미 내가 작업한 코드가 있으니 내 브랜치를 당겨 검토 후 병합해주세요 (^0^)/ - pull request를 하는 이유 자연스러운 코드 리뷰를 위해 Push 권한이 없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할 때 콜라보

velog.io

이 분의 블로그를 보면 정말 간단히 요약해주셨는데, 바로

 

"내가 작업한 코드가 있으니 내 브랜치를 당겨서 검토하고 병합해주세요!"

 

바로 이해할 수 있었다..!!

 

Pull Requests를 하는 방법

 

1. Fork 

Pull request를 보낼 레파지토리를 내 저장소로 Fork 한다.

해당 레파지토리에 들어가면 Fork 버튼이 있다. 해당 버튼을 누르면 된다.

 

2. clone, remote 설정

내 저장소에서 Clone or download 버튼을 누르고 url을 복사한다. 

terminal 로컬에 clone 한다.

$ git clone (복사한 url)

 

3. 로컬에 원격 저장소 추가

→ 별명은 origin(default) 따로 설정해줘도 된다.

$ git remote add (별명) (복사한 url)

 

4. 원격 저장소 설정 현황 확인하기

$ git remote -v

 

5. branch 설정

branch를 분기시켜서 코드 작업을 진행해준다!

$ git checkout -b (새로운 branch 이름)

이후에 코드 작업

 

6. 작업 후 add, commit, push(branch 이름 명시 필수!)

$ git push origin (새로운 branch 이름)

 

7. Pull request 생성

push까지 완료하면 본인 계정의 깃허브 저장소에 들어와 보면 Compare & pull request 버튼이 활성화되어 있고,

이 버튼을 클릭하면 title, content를 작성할 수 있다.

 

8. merge Pull request

원본 저장소 관리자는 코드 변경 내역을 확인하고 merge 해준다!

 

9. 동기화 및 branch 삭제

merge 완료되면 로컬 코드와 원본 저장소의 코드를 동기화한다.

$ git pull (remote 별명)

 

로컬 branch는 삭제

$ git branch -d (branch 별명)

 

+ 추가로 작업할 일이 있으면

git pull (remote 별명)

이 명령을 통해 원본 저장소와 동기화를 진행하고 다시 반복한다!

 

 

 

 

728x90